본문 바로가기

노인건강,복지스토리8

건강한 주거, 고령자 복지주택(노인복지주택)과 주거급여 고령자복지주택 과연 어떠한 형태의 주택일까요?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노인의 보건과 의료를 비롯한 다양한 복지 분야 등의 대안이 필요한 가운데 노인의 주택문제도 고려 안 할 수가 없는 부분입니다. 쾌적한 주거환경은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노년의 일상을 위한 건강한 주거, 고령자 복지주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령자복지주택이란 공공임대주택의 개념으로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주택설계를 통해, 건강관리와 문화활동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만 65세 이상의 저소득 노년층을 대상으로 노인주거와 복지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주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0년 정부정책 주거복지 2.0에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2023. 9. 12.
일대일 돌봄 필요해요, 장기요양등급 신청으로 요양보호사와 함께해요.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대해 이전 글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신청해요", "생활지원사, 외롭지 않아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에서 볼 수 있듯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생활지원사에 의해 대상자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활지원사 1명당 15명~18명의 대상자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생활지원사의 근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 30분까지입니다. 그 시간 안에 안부전화부터 시작하여 여러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교육이나 자원연계, 회의 등으로 중간에 사무실 귀소 시간도 있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어르신을, 그것도 한분만 집중적으로 케어할 수 없는 업무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독거노인의 안부안전 확인이 핵심업무이고 대상자에 따라 다른 사회적.. 2023. 6. 15.
치매예방 수칙과 치매 인식개선, 치매환자 실종지원과 실종 대처요령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 사회 현실을 보면 치매는 누구나 걸릴 수도 있으며, 우리 중 누구라도 치매환자 가족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치매는 우리 사회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극복해야 할 문제가 되었습니다. 치매는 노인의 지각 및 인지기능 전반에 걸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치매(dementia)라는 용어는 라틴어에서 유래가 되어 원래 뜻은 '제정신이 아님(out of mind)'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대에서 치매의 뜻은 하나의 질병이 아니라 여러 원인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증후군을 일컬어 이야기합니다. 세계보건기구 국제질병 분류에서는 치매를 가리켜 '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증후군으로 인한 기억력, 사고력, 이해력, 계산력, 학습능력 및 언어, 판단력 등을 포.. 2023. 5. 29.
소중한 눈 건강 지키는 습관, 결명자차 마셔요 얼마 전 이웃 어르신과 "결명자차"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20~30년 전 그분의 가족사진에는 어르신은 분명 안경을 쓰고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올해로 86세의 어르신은 어느 순간 안경을 쓰지 않아도 잘 보이신다고 합니다. 50세쯤부터 결명자차를 꾸준히 끓여 마셨는데, 그 이유로 눈이 좋아졌다고 믿고 계신 분이셨습니다. 안경을 쓰셨던 시기의 시력과 눈 상태가 어떠한지 잘 모르겠지만 쓰셨던 안경을 벗고 생활하신 지가 꽤 되셨으니, 그리 여기 실만 하신 것이지요. "결명자차"가 눈에 좋은 차라는 것은 익히 들어서 알고는 있었지만, 어르신의 말씀을 듣고 "결명자차"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눈은 우리 신체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 신체의 감각은 주위의 환경을 인지하고, 이에.. 2023. 4. 23.